반응형 전세사기 피해막는방법1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비슷한 주택이 위험한 이유 전세 가격과 매매 가격이 비슷한 주택에 전세로 들어갈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전세 가격과 매매 가격이 비슷하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 요소가 많은 주택이기 때문입니다. 집주인이 사기를 칠 수도 있고 사기를 안친다고 해도 임차인은 전세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비슷한 주택에 전세로 들어갈때 피해를 받지 않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집주인이 마음만 먹으면 사기를 칠 수 있다. ≪사기꾼 A의 시나리오≫ A는 대리 매수자로 길거리 노숙자를 돈 몇 푼에 미리 섭외를 한다. A는 저당없는 집에 임차인이 들어오면 전세 보증금 2억원으로 매매 대금 2억원을 대신하기로 소유자와 부동산에 미리 협의를 한다. 임차인은 이사들어오는 날에 현 소유자에게 전세 보증금 .. 2021. 12.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