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일간에 해당하는 임수(壬)와 계수(癸)일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음중에서도 극음.
임수와 계수는 오행으로 보면 음에 해당하는 기운입니다. 금(金)도 음이지만 보다 더 음의 기운이 강한 오행이 수일간입니다.
수(水) 오행 중 임수(壬)는 음중양에 해당하고 계수(癸)는 음중음에 해당합니다. 음양오행중 음이 가장 강한 천간은 계수(癸)가 되는 거죠.
임수(壬)가 음중양이라고 하지만 음이 기운이 90%라고 봐도 됩니다.
■ 음의 대표적인 성향은 예민하고 섬세한 여성스러운 기질입니다.
금의 기운도 예민하고 섬세하지만 수가 더 강합니다. MBTI의 I성향중 극 I가 됩니다.
☆ 이런 성향은 대인관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대인관계자체를 싫어합니다.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보다 자신과 잘 맞는 몇몇의 지인들만 알고 지내는 그런 성향인 거죠.
이런 수일간의 사람이 영업을 한다면 스트레스 엄청나게 받을 겁니다. 서비스 분야도 마찬가지고요.
■ 예민한 수 기운이 충이 되면 우울증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본래 개인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너무 혼자만 있으면 우울증이 보다 쉽게 찾아올 수 있는 거죠. 심하면 자살충동까지 일으키게 됩니다. 임수보다 계수가 그런 성향이 더 강하고요. 지지의 자수(子)가 해수(亥) 보다 더 크게 나타납니다.
사주에 계수와 자수를 가지고 있다면 대운과 세운에서 충이 되는 오화(午)가 들어오는 것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섬세하고 예민한 성향을 잘 활용하면 그쪽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지만 심리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운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 임수일간, 계수일간은 지혜롭고 똑똑합니다.
운이 좋으면 하이클래스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기운입니다. 연구개발자나 교수 등등 말이죠. 종교계나 심리학 분야에서도 능통할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도 해당됩니다.
다만 운이 좋지 않으면 이런 성향이 좋은 직업이나 지위로 나타나지 않고 그저 똑똑한 성향만을 나타내는데 보통은 가성비 중심적인 성향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소비를 해도 똑똑한 소비를 하는 거죠. 가성비, 가심비를 중심 한 그런 소비말이죠.
☆ 옛날에는 수기운을 선비사주로 봤습니다. ☆
똑똑하고 지혜롭다고 하지만 옛날 선비는 꼰대기질이 강했습니다. 지조를 지키고 자신의 신조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융통성은 찾아볼 수 없는 거죠.
지금도 임수일간, 계수일간의 사주는 꼰대가 많습니다. 특히 계수일간이 더합니다.
어릴 때는 그저 고집으로 나타나겠지만 나이가 들수록 남들이 보기에 융통성 없는 꼰대로 비칠 수 있습니다.
오행마다 각각의 욕심이 있는데 목은 의욕, 화는 색욕, 금은 탐욕, 수는 노욕입니다.
늙은 노자를 써서 노년기에 해당하는 욕심입니다. 노욕의 성향은 내 생각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관철시키겠다는 성향으로 나타납니다. 막무가내, 꼰대로 나타나는 거죠.
다음 사주명식을 보겠습니다.
임수 일간에 월지의 해수가 뿌리로 있습니다. 월간에도 계수가 있으면서 수 기운이 강한 사주입니다.
이분의 실제 성향은 베짱이 기질이 있습니다. 이기적이고 만사를 쉽게 쉽게 생각하고 사는 라이프 스타일을 가졌습니다. 옛날이면 선비 사주고 지금은 꼰대 사주의 성향인 거죠.
22세 병인 대운에서 인목이 식신으로 들어와서 편하게 놀고먹는 것을 좋아하는 흐름이기도 합니다.
☆ 이런 수일간의 성향은 뿌리가 지지에 있을 때 잘 나타납니다. ☆
임수일간, 계수 일간의 사주라도 사주 전반에 화기운이 많으면 수일간의 성향이 묻혀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일간의 성향이 잘 나타나는 사주는 임수와 계수의 뿌리가 지지에 있을 때입니다.
임수의 뿌리는 해수와 자수, 신금이지만 신금만 있다면 뿌리로 보지 않습니다. 신금은 해수나 자수가 하나라도 있어야 뿌리로 인정합니다.
계수의 뿌리는 자수, 축토, 진토이지만 진토만 있다면 진토는 뿌리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자수나 축토가 있어야 진토를 뿌리로 인정합니다.
지지에 뿌리가 없다면 대운과 세운에서 뿌리가 들어올 때 수일간의 성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사주로 인생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견. 겁재는 사람의 운입니다.(귀인사주) (1) | 2023.11.07 |
---|---|
역마살은 방랑자가 아닙니다. (0) | 2023.10.30 |
경금(庚), 신금(辛) 일간별 오행 스타일 금(金) (1) | 2023.10.19 |
토(土)일간의 성향/ 무토(戊), 기토(己)_ feat.진술축미 (1) | 2023.10.16 |
병화일간, 정화일간 화(火)일간의 성향을 알아보겠습니다. (1) | 2023.10.01 |
댓글